How UmTi shed his reputation as a "used-rookie"

엄티는 어떻게 "중고 신인"이라는 평가를 지웠는가.

 

Fredit Brion jungler Um “UmTi” Sung-hyeon debuted on January 2017, playing Lee Sin for Jin Air Green Wings, an esports organization that no longer exists. He has played in more than 200 LCK games since then, and 2021 is his fifth year of professional play.프레딧 브리온의 정글러 엄성현 "엄티"는 2017년 1월, 지금은 해체된 진에어 그린윙즈에서 리신 플레이로 데뷔했다.그는 LCK에서 200번 이상의 게임을 치뤄냈으며, 2021년은 엄티가 프로 게이머로써 활동한지 5년째가 되는 해이다.

 

Yet, until this spring, he was hardly ever called a veteran player.

하지만, 이 봄이 오기 전 까지, 그는 '베테랑 선수'라고 불리지는 않았다.

 

When UmTi first broke onto the scene, he received high praise for his unorthodox early-game pathing choices, willingness to go for the risky play and decent-to-great mechanics. On the flip side, some criticized his overreliance on pre-planned openings, ridiculously greedy counter-jungling attempts and poor late-game decision-making. The critics overwhelmed the supporters more often than not.

엄티가 처음으로 등장했을 때, 그는 비정통적인 (특이한) 초반 동선 설계와, 리스크 있는 플레이에 도전하는 의지, 그리고 훌륭한 설계사로써 많은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그가 사전에 짜여진 설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 터무니없을 정도로 탐욕적인 카정 시도들과, 게임 후반부에서는 형편없는 운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때로는 응원보다, 비판이 더 많기도 했다.

 

He shouldered most of the  blame for Jin Air’s underwhelming performance and was eventually lumped alongside other struggling rookie junglers (Lee “Crash” Dong-woo, Son “Punch” Min-hyeok, Yoon “SeongHwan” Seong-hwan, and Choi “Bless” Hyeon-Woong) as part of a popular, derogatory meme.

그는 진에어의 실망스러운 경기력에 대한 많은 책임을 짊어졌고, 결국에는 분투하는 다른 신인 정글러들 (crash, punch, seonghwan, bless) 과 함께 묶여 대중적인 밈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Young junglers are usually expected to mature dramatically with match experience, but time didn’t solve any of UmTi’s problems. Even learning from seasoned teammates like Lee “KaKAO” Byeong-kwon and Go “Score” Dong-bin — some of the best to have ever played the game — didn’t seem to have much of an effect. Regular glimpses of genuine talent were always marred by more frequent displays of unacceptable inconsistency.

어린 정글러들은 보통 경험을 쌓아가며 극적인 성장을 이뤄낼 것이라고 기대되지만, 엄티의 문제는 시간이 해결해주지 못했다. "kaKAO"나, "Score"과 같은 노련한 플레이어들에게 배운 것 조차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 같아 보였다.

Regular glimpses of genuine talent were always marred by more frequent displays of unacceptable inconsistency.

(대충 재능의 편린은 납득하기 힘들 정도의 모순적인 플레이들로 얼룩졌다.?)

 

For the first four years of UmTi’s career, during which he had to claw out of relegations twice and spend an entire year in Challengers Korea, no lasting improvement manifested. It almost felt as if he might never even develop as a player, let alone live up to his promise.

엄티의 캐리어 중 첫 4년동안, 그는 두번이나 팀을 나와야 했고 1년 내내 챌코에서 지내야 했지만, 지속적인 발전은 보이지 않았다. 그의 다짐을 지키기는 커녕, 선수로써 발전하지도 못할 것만 같았다.

 

Why do we climb?

왜 우리는 등반하는가?

 

In 2018, Cathy Yang wrote “13 Ways of Looking at Success,” a seminal feature on the struggles and hopes of LCS’s middling players — those who had long endeavored to carve out a meaningful legacy for themselves in the league but had yet to realize their dreams. The article revolves around the stories of specific players in North America, but the question posed is universal: Why are these players still willing to give so much to a cause so cruel and unrewarding while already knowing they could give everything they ever had and still never get anything back?

2018년, Cathy Yang은 "성공을 바라보는 13가지 방법" 이라는 책을 썼다. 이는 LCS의, 오랫동안 리그에서 의미있는 결실을 얻고자 노력했으나 아직 꿈을 이루지 못한 중견급 선수들의 고군분투와 희망에 관한 내용이다. 이 글은 북미의 특정 선수들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글에서 제시된 질문은 보편적인 질문이다.

왜 그 선수들은, 그들이 지금 가진 것도 모두 내놓을 수도 있는데다, 아무것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걸 알면서도, 왜 그토록 잔인하고 보상없는 명예를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는가?

 

“Keith’s 1-17 record on Echo Fox will never show how much Yuri Jew has grown, or the drive he still feels to be number one,” Yang wrote. “Goldenglue’s KDA will never reflect all the soul-searching and stress and punishing spotlights Greyson Gilmer has endured, only to emerge a stronger, more confident person and player.”

Yang은 "Keith가 에코 폭스에서 1-17을 기록한 것은, Yuri Jew가 얼마나 성장했는지에 대해서는, 혹은 여전히 1위를 하고 있다고 느끼는 추진력을 결코 보여주지 못할 것이다." 이라고 적었다.

"Goldenglue의 KDA는 Greyson Gilmer가 견뎌온 그 모든 soul-searching(자아탐색?), 스트레스와 고통스러운 주목들을 결코 반영하지 못할 것이다. 단지 더 강하고, 자신감있는 사람과 선수의 등장만을 보여준다."

 

The piece’s central metaphor is professional play as mountain climbing. It’s fitting in more ways than one. Everyone aims to reach a peak (just not the same one), different people take different routes, many climbs are fraught with setbacks and sometimes things just don’t work out. Perhaps the most relevant similarity is that for non-superstar hikers, there’s never really a logical reason to keep scaling a mountain that willfully rejects them. And yet, some stubbornly stay the course. Why?

이 작품의 중심이 되는 은유는 프로들의 게임을 산을 오르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여러가지 면에서 잘 어울리는 은유다. 모든 사람들이 정상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고 (완벽히 똑같지는 않지만), 자신만의 루트가 있고, 많은 등반들은 좌절로 물들어있고, 때론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도 있다.

아마도 가장 관련성 있는 유사점은, 슈퍼스타가 아닌 등산객(선수)들에게, 그들을 거부하는 산을 계속해서 오를 논리적인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완고하게 그 코스를 올라간다. 어째서?

No definitive answer is given, probably because there isn’t one.

답이 존재하지 않기에, 확답을 내릴 수가 없다.

 

“But still, they were there. And still, they keep climbing.
And maybe at the end, they’ll look pretty cool.” – 13 Ways of Looking at Success

"하지만 여전히, 그들은 그곳에 있다. 그리고 여전히, 그들은 오르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아마도, 그들은 꽤 멋져보일 것이다. - 「 13 Ways of Looking at Success 」

 

Nothing left to lose

잃을 것은 없다

UmTi’s triumphant return to the spotlight this year — which has earned him the nickname “commander-in-chief” for solid, self-assured displays as Fredit Brion’s jungler and captain — has caught pretty much the entire scene by surprise. Prior to season kickoff, Brion was considered the lock-in for tenth place, an uninspiring budget squad consisting of unproven rookies and proven failures (as admitted by manager Choi “Edgar” Woo-beom himself, albeit alongside a statement of intent to prove the naysayers wrong). Few expected UmTi to keep up with the competition, let alone play well.

엄티는 올해, 프레딧 브리온의 정글러이자 주장으로써 탄탄하고 자신감에 찬 플레이로 "총사령관"이라는 별명을 얻은 성공적인 복귀를 해내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시즌에 앞서, 브리온은 검증되지 않은 신인, 검증된 실패 ("Edgar" 최우범 감독이 직접 인정했던 것 처럼)로 구성된.

이변없는 확고한 10위팀으로 여겨졌다. 

좋은 플레이는 커녕, 엄티가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Yet, by somehow unlocking a level of composure he had failed to reach for years, he has finally established himself as a more-than-decent LCK-level player and his team’s centerpiece.

그러나, 그는 그가 수 년 동안 도달하는데 실패했던 경지에 어떻게든 올라섬으로써, 그는 마침내 LCK 레벨의 선수이자 그의 팀의 중심축으로써 자리매김했다.

“[UmTi] had always been great at planning out the early game and making smart choices, but from the midgame onwards, he would often make silly decisions that usually ended up as throws,” said Han “H-Dragon” Sang-yong, who signed UmTi in 2016 and mentored him for two years as Jin Air’s head coach. “But he seems to have improved much in that regard and is now playing a key part in Brion’s macro.”

2016년 엄티와 계약하고 진에어 감독으로써 2년동안 코칭했던 한상용 감독은 "[엄티]는 언제나 초반 게임을 설계하고 현명한 선택을 하는데에서는 뛰어났지만, 중반부터는 자주 쓰로우로 끝나는 바보같은 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그런 부분을 많이 극복해낸 것 같고, 현재는 브리온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있다."

 

Brion ultimately failed to reach the playoffs this spring, but they’ve repeatedly punched far above their weight, proving themselves to be capable of felling even world class teams on a good day.

브리온은 궁극적으론 스프링 시즌의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지는 못했지만, 그들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체급을 뛰어넘는 펀치를 날리며, 좋은 날(고점)에는 세계 정상급의 팀들까지도 쓰러뜨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This past January, Brion pulled off an inconceivable upset victory against reigning world champions Damwon KIA, with UmTi and Kim “Lava” Tae-hoon in particular running circles around Heo “ShowMaker” Su and Kim “Canyon” Gun-bu. After the game, Brion celebrated in their practice room like they had just won Worlds, crashing into chairs, yelling their lungs out, jumping up and down with joy. In the post-match interview, a flushed UmTi characterized his team as a desperate, ragtag bunch — a squad full of players “who have failed to prove their worth, who have failed to realize their potential, who are still being called ‘used rookies'”.

지난 1월, 브리온은 세계 챔피언인 담원 기아를 상대로, 특히 "Lava"와 "Umti"가 "ShowMaker"와 "Canyon"을 상대로 능가하는 등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역전승을 거두어냈다. 

경기가 끝난 후, 브리온은 그들의 연습실에서 방금 월즈에서 우승한 것 처럼 축하했고, 의자에 부딪치고, 소리치고, 기쁨으로 날뛰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상기된 엄티는 그의 팀이 "가치를 증명하지 못하고, 잠재력을 보여주는데 실패한, 여전히 '중고 신인'으로 불리는 선수"들로 가득찬 절망적이고, 오합지졸인 무리라고 묘사했다.

Wrapping up the interview, he summed up Brion’s drive as follows:

그 인터뷰를 마치며, 그는 브리온의 추진력을 이렇게 요약했다 :

“We want to show the fans what a group of kids with truly nothing to lose can do.”

"우리는 정말 잃을 것 없는 아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을 팬들에게 보여주고 싶습니다."

 

Can’t come back

돌아올 수 없다.

In Korea, “used rookie” is an idiomatic oxymoron used in sports, music and entertainment to characterize those well past their debut who were briefly considered promising before quickly falling out of the spotlight but stuck it out and are now returning to public attention, usually due to some kind of auspicious resurgence. The “rookie” label stems from newer or casual spectators typically failing to recognize them.

한국에서, "중고 신인" 이란 스포츠, 음악, 예능에서 사용되는 관용적 모순어로, 유망하다고 잠시 주목받았지만 빠르게 떨어진, 현재는 대중의 관심으로 돌아가려 하는 사람들을 특정짓기 위해 사용된다. "신인"이라는 딱지는 일반적으로 그들을 몰랐던 새로운, 혹은 일반 대중들로부터 유래되었다. 

The connotation and details of the term have long been debated. Is it acceptable to describe a human being as “used” as one would a car? Is the “rookie” an insulting erasure of past experience or a well-meaning affirmation of remaining potential? There isn’t a consensus, and it’s common to see arguments break out in forums due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그 용어에 대한 함축적인 의미나 세부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인간을 자동차처럼 "사용된" 사람으로 묘사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가? "신인"은 과거 경력을 모욕적으로 삭제하는 것인가, 아니면 남은 잠재력에 대한 선의적인 확인인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글귀에 대한 해석이 달라 토론회에서 논쟁이 일어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It’s unclear whether esports produces used rookies at a higher rate than traditional sports. Due to the general fragility of talent development infrastructure (or its non-existence in many regions and titles), as well as the undeniable presence of nepotism (mostly in smaller scenes with tiny top-end player pools), one might argue it’s easier to stick around in esports once someone gets their first shot, particularly if they’re open to taking lowball offers and/or moving regions. But hanging on after the first fall is only half of what constitutes the used-rookie arc. The other half is clawing back and getting noticed again.

e스포츠가 전통적인 스포츠들보다 더 높은 비율로 중고 신인들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재능 개발 인프라의 취약성, 부정할 수 없는 족벌주의의 존재 때문에, 누군가가 한번 하이라이트를 받으면, 특히 만약 그들이 더 낮은 오퍼, 혹은 지역을 이동하는 제안을 받는다면 이 스포츠계에 머무르는게 쉽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첫 실패 이후에,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중고 신인들의 절반에 불과하다. 나머지 절반은 뒤로 물러나고 다시 주목을 받기를 기다린다. (?)

Aside from the crème de la crème, very few players in esports work in an environment conducive to bouncing back after a bad year. Playing careers are short, and few can lock in multi-year contracts. Frenzied patch cycles — a part of life for most esports titles — diminish the value of professional experience to the point where in certain aspects it can even be detrimental. Cutting a forgettable player for a replacement off of the ranked ladder is ridiculously easy. The chopping block is always a hair’s breadth away.

crème de la crème을 제외하고, e스포츠의 극소수의 선수들만이 힘든 해를 보내고도 다시 뛰기 좋은 환경을 받는다. 선수 생활은 짧고, 다년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e스포츠 게임들의 광란의 패치 주기들은(빠른 메타 전환 등?) 프로 경험의 가치들을 특정면에서는 해로울 수 있을 정도로 감소시킨다. 랭커들로 자리를 대체하기 위해 잊기 쉬운 선수들을 잘라내는 것은 터무니 없을 정도로 쉬운 일이다. 도마 위로 오르는 길은 언제나 코앞에 있다.

Now add in the fact that esports doesn’t even pay that well on the lower end (at least not yet)  and consider the hours of commitment required for the job;. As a whole, an esports career is not exactly renowned for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t won’t leave most with translatable skills, unless someone is playing overseas and learning a new language.

이젠 e스포츠가 낮은쪽(낮은리그?)에서도 그렇게 많은 페이를 지불하지 않다는 사실 (적어도 아직까지는)을 더해, 일을 얻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십시오. 

전체적으로, e스포츠의 경력이 정확히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걸로는 유명하지 않으며, 누군가 해외에서 새로운 언어를 익히고 활동하지 않는 이상 번역하는 능력에 대한 것도 남기지 못할 것이다.

Why would someone want to play esports if esports don’t seem conducive to a career?

만약 e스포츠가 직업에 도움이 되는 것 같지 않다면, 왜 누가 e스포츠를 하고싶어 할까요?

It’s not that the industry has completely ignored the problem. Twenty years ago, it wasn’t uncommon for wannabe StarCraft: Brood War pros to recklessly drop out of school and move into facilities indistinguishable from illegal sweatshops. Many never received a salary and often paid out of their own pocket for food and amenities.

업계가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다. 20년 전만 해도, 스타크래프트 프로들이 무분별하게 학교를 중퇴하고 불법적인 Sweatshop(저임금, 고노동, 건강위험과 함께 장기간 실업상태인 블랙회사)와 구분되지 않을 정도의 시설로 이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많은 사람들이 제대로 돈을 받지 못했고 종종 음식과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사비를 지출하곤 했다.

 

Now, at least in the top leagues of the top games, the esports industry at least tries to resemble a sane career choice, with even academy players given access to institutionalized support and compensation. So, some things have changed.

이제 적어도, 톱 게임(롤, 배그, 오버워치 등등) 리그에서는 e스포츠 산업이 학원 선수들까지도 최소한 제도화된 지원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올바른 직업 선택들과 닮으려는 노력을 한다. 그래서, 몇몇 것들은 변했다.

Yet, some things have stayed the same. Many promising players who fail to reach the top level in their first few years quietly leave esports. Those who choose to stay mostly fail to recover their shine.

하지만, 어떠한 것들은 아직 남아있다. 데뷔 후 첫 몇 년 동안 정상에 오르지 못한 많은 유망주들은 조용히 스포츠를 떠난다. 머무르기로 선택한 사람들은 대부분 그들의 빛을 되찾지 못한다.

 

Without comeback mechanics, it’s hard to make comebacks.

컴백 메커니즘이 없는 이상, 돌아오는 것은 힘들 것이다.

 

The power of perseverance 

인내의 힘

 

While UmTi has yet to come close to qualifying for the World Championship, he said he won’t give up until his dream comes true. Photo courtesy of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엄티는 아직 세계 선수권대회 본선 진출에 근접하지 못했지만, 그는 꿈이 실현될 때 까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LCK에서 사진제공.

UmTi, more so due to its unorthodox capitalization, looks like it stands for something — Umlauts and tildes? Umpteenth time? — but it isn’t an acronym. In old Korean, means “primary hill.” It’s also the made-up name of a sea turtle monster in MapleStory, one of Korea’s oldest and most popular MMORPGs.

UmTi는 특이한 대문자로 인해 마치 Umlauts 와 tildes, 혹은 Umpteenth time을 의미하는 것 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건 두문자어(줄임말)이 아니다. 한국어의 옛말로 "최초의 언덕"(이거 맞나?)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메이플 스토리의 거북이 몬스터의 이름이기도 하다.

Umti is green, slightly smug-looking, spits poison, moves much quicker than it looks and is a notorious prankster. Whether the 2D turtle’s name came from the old word is unknown. Trivia and etymology aside, though, it’s easy to see why Um Sung-hyeon’s childhood nickname was Umti. Um isn’t the most common of family names, and MapleStory was huge when he was in school.

엄티는 녹색이고, 조금 으스대는 모양새에, 독을 뱉는, 보기보다 훨씬 빨리 움직이며 악명높은 장난꾸러기이다. 이 거북이의 이름이 한국어의 옛말에서 유래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상식와 어원은 제쳐두고, 엄성현의 어린시절 별명이 왜 엄티였는지는 쉽게 알 수 있다. 엄씨가 흔한 성은 아니었고, 그가 학교를 다닐시절 메이플스토리는 인기있는 게임이었다. 

One might be tempted to reference the Tortoise and the Hare fable and commend UmTi for his zeal and perseverance, plodding onward for years at his own pace despite the external ridicule. Yet, it would be a misleading comparison, for it would imply tortoises could actually outrun hares, and that hard work always pays off.

토끼와 거북이에 대한 우화를 언급하고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몇 년 동안 자신의 페이스대로 터벅터벅 걸어온 총사령관 엄티의 열정과 끈기를 칭찬하고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비교일 수도 있다. 실제로 거북이가 토끼를 앞지를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그리고 열심히 일한다면, 항상 성과가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It doesn’t — not in esports. If it did, Kim “Roach” Kang-hee would probably now be the best top laner in the LCK, not the best top laner in Challengers Korea.

이건- 그니까 e스포츠에서는 아닙니다. 만약 그랬다면, "Roach" 선수는 챌린저스코리아의 최고의 탑라이너가 아니라, LCK 최고의 탑라이너가 되었을 것입ㅂ니다.

Still, UmTi credits persistence as the primary factor for his belated resurgence. While he said his goal during his first stint with Jin Air was to simply survive, spending years working on his game has helped him understand League of Legends at a higher level.

그럼에도, 엄티의 경우 끈기야말로 그가 뒤늦게 부활했떤 주요 요인으로 꼽고 있다. 그는 진에어에서의 첫 해 동안 목표가 단순히 살아남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의 게임을 위해 보낸 수 년의 경험은 리그오브 레전드를 더 높은 수준에서 이해하는데에 도움을 주었다.

“I think the [breakthrough] happened mainly because I always kept my head straight and stayed diligent, thanks to the mental guidance of the coaches I’ve worked with until now,” UmTi said. “You can’t work on something for five straight years and get worse at it, right? It’s just like studying.”

"저는 돌파가 일어날 수 있었던 주된 이유가 항상 우선 순위를 세우고 부지런함을 유지하려고 했기 때문에라고 생각해요. 정신적으로 이끌어주셨던 지금까지 함께 해왔던 코치분들에게 감사합니다." 엄티는 말했다. " 5년 연속 같은 일을 하면서 더 나빠질 수는 없잖아요. 그렇죠? 공부나 마찬가지죠."

A reasonable cynic might argue that even if UmTi continues to perform (and perhaps even further improve in the coming years), it remains rather difficult to imagine him lifting a major trophy before he retires. It’s unclear whether he’ll ever get to achieve even the most reasonable dream of his career, one that he put into immutable writing at a sushi restaurant four years ago: qualifying for Worlds. UmTi might look irreplaceable on Brion now, but it would be disingenuous to pretend that his current status has nothing to do with his team being a non-contender.

\합리적이고 냉소주의자는 엄티가 계속 프로 생활을 한다고 해도 (그리고 아마도 몇 년동안 향상된다고 해도), 그가 은퇴하기전에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다소 어렵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가 4년 전, 초밥집에서 적었던 그의 생애에서 가장 합리적인 꿈조차 이룰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엄티는 지금 당장은 브리온에서 대체가 불가능해보일지 모르지만, 그의 팀 내에서 그의 현재 지위에 도전할 경쟁자가 없다고 말하는건 무례한 일일 것이다.

 

That being said, UmTi’s belief in himself has never faltered. He has stubbornly stayed the course. He has always kept climbing, no matter how often he slipped.

그렇긴 하지만, 자신에 대한 엄티의 믿음은 결코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완고하게 그 코스를 완주해냈다. 얼마나 자주 미끄러졌던지간에, 항상 그는 등반해왔다.

“If I didn’t think I could one day realize my dreams, I would have already retired,” he said. “I know hard work in itself isn’t enough. What matters is achieving good results through that work. But I believe I can make it happen. I wouldn’t have chosen this job in the first place if I thought I’d always be mediocre.”

"언젠가 꿈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지 않았다면 벌써 은퇴했을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나는 힘든 일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다는걸 안다. 중요한 것은 그 일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내가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내가 항상 나를 평범하다고 생각했다면 애초에 이 직업을 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Qualifying for international play is tough no matter the region. Nevertheless, he does seem to have conclusively managed to outrun the brutal quicksand of time that clutched at his heels for so long — the bane of so many pros around the world who shone, then dipped, then disappeared.

국제 경기 출전은 종목에 상관없이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정적으로 그의 뒤를 오랫동안 따라붙었던 잔인하고, 빠른 시간의 흐름들을 극복해낸 것 같다. 빛나고, 가라앉고, 사라졌던 수많은 프로들의 골칫거리를.

For four years, esports didn’t seem to want him. Now it wants him back.

이 4년동안, e스포츠는 그를 원하지 않는 것 같았다. 이제는 그가 돌아오기를 바란다.

One tortoise has somehow managed to stay ahead of Achilles. Maybe it could outrun some hares, too.

거북이 한 마리가 아킬레우스를 앞질렀다.

어쩌면

토끼를 앞지를 수도 있을거야.

'좋아하는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 2021.05.28
ㅇㅁㅇ  (0) 2021.05.23
볼 때 마다 가슴 언저리가 찡해지는  (0) 2021.04.22
헤나 0420 오후 7시~10 방송 클립  (0) 2021.04.20
헤나 0420 1시~4시 방송 클립  (0) 2021.04.20

+ Recent posts